
반드시 외워야할 일본 속담 40개 일본어공부하시는 분이라면 이정도는 알고 계셔야죠~^^많은 도움 되시기 바라요~1. 後(あ)の祭(まつり)나중에 하는 축제.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2. 雨垂(あまだれ)は三途(さんず)の川(かわ)빗방울이 삼도천.대문 밖이 저승이라. 사람은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뜻.3. 蟻(あり)の思(おも)いも天(てん)に届(とど)く개미의 정성도 하늘에 닿는다.비록 힘이 약할지라도 지성을 다하면 소망을 이룰 수 있다는 뜻.4. 一円(いちえん)を笑(わら)う者(もの)は一円(いちえん)に泣(な)く1엔을 비웃는 사람은 1엔에 운다.싸라기 쌀 한 말에 칠 푼 오 리라도 오 리 없어 못 먹더라.5. 急(いそ)がば回(まわ)れ급할수록 돌아가라.바늘허리에 실 매어 쓰랴. 아무리 급해도 서두르면 안 된다.6. 石(い..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 속담 시간 입니다. 오늘 내용은 속담이라기 보다는 일종의 흔히 쓰이는 말 정도 인데요, ^^. 먼저 만나 보실까요? 京都(きょうと)の着倒(きだお)れ、大阪(おおさか)の食(く)い倒(たお)れ、江戸(えど)の呑(の)み倒(たお)れ 京都の着倒れ、大阪の食い倒れ、江戸の呑み倒れ 쿄토노 키다오레, 오오사카노 쿠이타오레, 에도노 노미타오레 교토 사람은 입어서 망하고, 오사카 사람은 먹어 망하고, 도쿄(에도) 사람은 마셔서 망한다. 지역색이 확 드러나는 말 이네요. ^^ tip.食い倒れ 먹어서 망한다?~倒れ는 가산을. 탕진할 정도로 지나치게 ~ 한다는 의미 인데요, 최근엔 엄청 많이 ~하는 모양에 쓰입니다. 젠체하고 격식을 따지는 교토 사람이나, 호방하고 솔직한 오사카 사람이나, 지들 빼곤 싹다 촌놈..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어 시간입니다. 오늘 내용은 우리 속담 '꿩먹고 알 먹고'에 해당하는 말로 飛車取り王手 (히샤토리오오테). 라는 말인데, 그대로 직역하면 비차 잡고 왕수 라는 뜻입니다. 읭? 이게 뮌 말이다냐... 바둑과 함께 늘 붙어 다니는 단짝 으로 장기가 있죠? 초와 한의 대결이 펼쳐지는 인기 두뇌 스포츠인데요, 일본에도 우리나라의 장기와 비슷한 将棋(쇼기) 라는 일본식 장기가 있습니다. 쇼기의 특징은 잡은 상대의 말을 내 말로 활용할 수 있다네요. 다시 일본속담으로 와서.... 飛車取り王手란? 飛車(ひしゃ)取(と)り王手(おうて) 히샤 토리 오오테 (비차 잡고 왕수) 꿩 먹고 알 먹기 비슷한말 一石二鳥(いっせきにちょう) 잇세키 니쵸오 일석이조 '飛車' 는 우리 장기로 치면 최고의 말 '車'..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 속담 시간입니다.한달 정도 개인적인 사정으로 블로그 활동을 전혀 하지 못했네요. 그럼에도 기존 컨텐츠에 많은 분들이 방문해 주셔서 무척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늘 함께 만나볼 일본 속담은'그 애비에 그 자식' 의 일본식 표현 이겠네요 蛙(かえる)の子(こ)は蛙(かえる)카에루노 꼬와 카에루개구리 새끼는 개구리자식은 부모가 따라간 길을 걷는 것이다. 또, 그런 부모의 자식은 그런 사람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라는 의미입니다.주로 어른이 아이 한테 쓰는 말입니다.개구리 한테서 당연히 개구리가 나지 두꺼비가 나올리 없겠죠? ^^ 아빠도 수학을 무지 싫어했었어의 느낌?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 의 의미도 비슷할 수 있겠지만, 이건 직접적으로 사람에게 쓰이는 속담..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속담 시간입니다. 오늘 함께 배워 볼 일본 속담은... 긁어부스럼에 해당하는 말인데요, 藪(やぶ)をつついて蛇(へび)を出(だ)す (야부오 쯔쯔이테 헤비오 다스)입니다. 쓸데없이 덤불을 쪼아서 무서운 뱀을 나오게 한다는 뜻으로, 하지 않아도 될 짓을해서 생각지도 못한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는 의미죠.또는, 해서는 안 되거나 하지 않아도 될 일을 괜히 벌여 일이 커지거나 되레 일을 악화시킬 때 쓰는데요, '가만히만 있어도 중간은 간다'와 비슷하게 쓰일 수도 있겠네요.서민 물가가 많이 올라서 나랏님도 고민이 많으실테요, 그렇다고 한단에 856원 짜리 대파를 들고나오시면.... 이런 경우가 긁어 부스럼이고,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가는 경우죠. ^^ 藪..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속담 시간입니다.오늘 배워볼 일본 속담은 우리 말로 '운 때가 딱 맞았다' 혹은 '아다리가 딱 들어 맞네' 등의 표현으로 쓰일수 있겠는데요, '渡りに船' 직역하면 '강을 건너려는 찰나의 배' 입니다. 막 허겁 지겁 부두에 도착 했는데, 나 까지 딱 탈 수 있는 행운이 오면 기분이 좋겠죠? ^^참고로 '아다리'는 바둑에서 집을 내기 직전의 수를 말하죠. ^^이 속담은 단순히 행운의 상황을 나타내는 말로 쓰입니다. 우리 말 이라면 앞에 감탄사 '아싸~' 가 붙으면 어울리겠네요. ^^ 예를 들면,버스가 가버려서 곤란해 하고 있으면, [渡りに船]라는 듯이 동료가 차로 지나갔다.해외에서 살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해외 ..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속담 시간입니다. 오늘늘 가져온 일본 속담은 우리로 치면 '핑계 없는 무덤 없다', '처녀가 애를 낳아도 할 말이 있다' 에 해당하는데요, '盗人にも三分の理' 입니다. 도둑에게도 도둑질을 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비난할 만한 행위에 이르는 자에게도 할 말이 있다. 이런 의미죠. 요즘엔 거의 쓰지 않는데, 예전에 급전을 빌리거나 할 때 '삼부 이자로 백만원 빌렸다' 이런 표현을 썼었는데요, 여기서 '삼부'가 '三分'의 일본식 표현으로 3할 또는 30% 에 해당하는 말이죠. 盗人(ぬすびと)にも三分(さんぶ)の理(り)누스비토니모 산부노 리도둑도 삼분의 이치핑계 없는 무덤 없다처녀가 애를 낳아도 할 말이 있다그러니까 나쁜 짓을 하는 도둑..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속담 시간입니다.31일 차네요~ 청룡의 해, 2024년이 밝고 벌써 3월이 지나고 있네요. 새해에 다짐한 목표들은 잘 진행되고있나요? 작심삼일로 흐지부지 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다이어트? 외국어?오늘 배워볼 일본 속담은 '작심삼일'에 해당하는 '三日坊主 밋카보오즈' 입니다. 있는 그대로 풀면 三日 밋카는 삼일, 坊主 보오즈는 스님, 중 을 말합니다. 직역하면 삼일스님이 되겠네요 ^^ 다짐을 하고 금방 포기하는 사람이 삼일스님? 그 유래가 무척 재미있는데요, 일본의 에도시대에도 이혼과 재혼의 자유가 있었다네요. 다만 서민의 경우 이혼을 원하는 여성은 반드시 남편이 이혼과 재혼을 허한다는 離縁状 이연장을 써야하는 의무가 있었다는데요, 여..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속담 시간입니다.30일 차네요~ 오늘의 일본 속담은 며칠전에 알려 드렸던 猿(さる)も木(き)から落(お)ちる'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 의 또다른 표현인데인데요, '갓파(河童)도 물에 휩쓸린다' 라는 표현입니다.갓파(河童)가 뭐길래 그것도 물에 떠내려 갈수 있다며 나무에서 떨어진 원숭이 처럼 매사에 방심하지 말라는 의미로 쓰일까요? 갓파(河童)는 일본 물의 요괴로서 대머리에, 새의 부리, 거북이 등껍질, 물갈퀴가 특징인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요괴중 하나입니다.물에 숨어 있다가 사람을 덮치기도하고, 아이들과 물놀이하기도 하는 좋은면 나쁜면이 다양한 녀석입니다. 먹을 것으로는 오이를 좋아하는데요, 농촌에서 오이가 없어지면..

안녕하세요? 하루하나 일본속담 시간입니다.29일 차네요 ^^오늘 속담은 그림의 떡 입니다. 재미있는 사항은 이 속담이 우리 속담과 서로 표현은 같지만 쓰이는 의미나 뉘앙스가 다르다는 겁니다. 絵(え)に描(かい)いた餅(もち)에니 카이타 모찌그림의 떡우리와 일본의 쓰임이 조금 달라요우리 속담을 예로들자면, 길을 지나가다가 롤스로이스를 본 친구가 '아. 나도 저런 차 몰고 싶다.' 라고 말했을 때 '아서라 너한텐 그림의 떡이여~ㅋ' 라고 말 할수 있겠죠.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라'는 쪽에 가깝습니다.그런데 일본 속담의 그림의 떡은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것', '실현 불가능한 것' 이라는 의미로 많이 쓰여요. 사용 예로 외워봐요~ ..
- Total
- Today
- Yesterday
- 독학일본어
- 일본어
- 일본어배우기
- 일본어기초
- 일본명곡
- 일본속담
- 일본동요
- 기초일본어
- 노래로배우는일본어
- 엔카명곡
- JPOP
- 일본어속담
- 일본이름짓기
- jpop명곡
- 하루하나일본어
- 일본어스터디
- 中森明菜
- 桂銀淑
- テレサ テン
- 하루하나일본속담
- 계은숙일본노래
- jpop일본어
- 일본노래
- 좋은일본노래
- 엔카
- 일본어독학
- 일본어공부
- 일본원곡
- 유명엔카
- 나카모리아키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